왜 갑자기 '숯'이 난리가 난 것일까?
우리나라에서 숯은 상당히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고기를 구워 파는 식당에서는 필수적이다. 그리고 캠핑장에서도 음식을 해먹기 위해 숯을 쓰는 경우도 많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숯이 알게 모르게 일상생활에 자리잡고 있다. 그런데 갑자기 숯을 제조하는 업체들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숯을 제조하는 업체들은 생산 중단의 위기에 놓였다고 할 정도다. 일각에서는 극단적으로 조만간 고깃집들은 대부분 숯을 쓰지 못하게 될 것이라는 이야기까지 한다. 알고보니 이런 곳에서 주로 쓰는 '성형숯'을 제조하는 업체들이 바뀐 정부 규정을 맞추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두 가지의 숯이 생산되고 있다. 참숯과 성형숯이다. 참숯의 경우 나무를 태워 그대로 만든다. 이에 비해 성형숯은 숯에다가 각종 재료를 넣어서 만든다. 성형숯은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음식점과 캠핑장에서 애용한다. 우리나라 시장에서 약 20%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 중 문제가 되는 것이 성형숯이다.
최근 중앙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성형숯 제조 업체들이 정부의 품질 규격을 맞추지 못해 생산 중단의 위기에 놓였다. 가장 큰 문제는 '착화제' 함량 기준이다. 불을 잘 붙게 하기 위해 넣는 재료다. 그런데 성형숯 업체들은 정부의 착화제 함량 기준이 너무나 적다고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정부 당국에서는 현재 구이용 성형숯에 착화제 성분인 바륨을 중량 대비 10.5% 이하만 포함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문제는 지금 성형숯을 만드는 업체들은 바륨 성분을 이보다 훨씬 초과해서 만들고 있다. 만일 정부가 본격적으로 규제에 나서게 된다면 현재 제품들은 생산할 수 없다.
성형숯 업계에 따르면 정부 규정대로 바륨을 첨가할 경우 숯에 불이 잘 붙지 않고 연기와 냄새가 기존 제품보다 많이 나기 때문에 불량 제품이 될 수 밖에 없다고. 성형숯 업계에서는 적정 바륨 함량을 12~13.5%로 보고 있다. 이만큼 써야 불이 잘 붙고 연기와 냄새도 적게 발생한다는 주장이다.
정부가 이렇게 바륨 함량을 규제한 것은 유독성 논란 때문이었다. 처음 성형숯 기준을 제정한 2015년에는 바륨의 함량 기준이 15.8% 이하였다. 하지만 2017년 바륨이 수류탄과 폭죽의 연료로 쓰이는 유독성 물질이라는 논란이 일었다. 그러자 산림과학원은 바륨 함량 기준을 10.5% 이하로 낮췄다. 하지만 이후 바륨이 유해성이 없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량 기준은 그대로였다.
현재는 성형숯 규정을 관리하는 산림청이 바륨의 기준치 이상 사용을 특별히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이러한 숯이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2023년 말까지 유예기간이기 때문에 이후에는 성형숯을 생산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산림청 측은 성형숯 등의 품질 기준을 개정하는 작업을 준비하고 있지만 무조건 완화를 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