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이 6·1 지방선거 패배에 대한 원인을 놓고 책임 공방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지방선거 패배 직후부터 시작된 공방은 주말에도 계속해서 이어지는 모양새다.
친문(친문재인) 성향의 신동근 민주당 의원은 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잘못을 잘못이라고 하는 게 잘못이라는 말인가'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친명(친이재명) 진영을 강도 높게 비난했다.
신 의원은 "당내에서 냉정한 평가와 반성을 할 수 없게 만드는 방식이 몇 가지 있다"며 "첫째, 그 누구의 책임이 아니라 모두의 책임이라는 식으로 몰아가는 것으로 책임의 경중을 흐리는 방식"이라고 적었다.
이어 "특정인을 거명하지 말라 한다"며 "특정인과 그 특정인을 둘러싼 이들의 잘못은 사라지고 모든 문제는 당 내부의 구조에 있었다로 귀결된다"고 했다.
일각에서 차기 당권을 놓고 친문 진영이 친명 세력 견제에 나섰다고 분석하는 것에 대해서도 "평가를 사심과 결부시키고 당권 추구 식으로 몰아가는 것"이라며 "오히려 자신들의 행태가 본질적으로 사심과 당권 추구에 있다는 것을 가리려 한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진짜 작전을 했던 이들이 작전 운운하고, 진짜 당에 깊고 큰 상처를 남긴 이들이 상처 운운하고, 더 큰 분열로 당을 몰아가고자 하는 이들이 분열을 운운하는 세태가 한심하기만 하다"고 주장했다.
친문 진영의 김종민 의원도 이날 "이재명 책임론은 '이재명 지키자도 죽이자도 아니다. 민주당 민주주의 이대로 좋은가, 제대로 하고 있는가'가 핵심"이라며 "대선 때 심판받은 후보가 한 달 만에 지역구에 교체 출마한 건 헌정 사상 처음 있는 일로 민심과 민주주의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이재명 의원의 계양을 보궐선거 출마를 비판했다.
범친문으로 분류되는 정세균계 이원욱 의원도 이재명 책임론을 꺼내 들었다. 이 의원은 자신의 SNS에 박지현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추대 과정이 담긴 기사를 게재하며 "박지현 위원장을 비대위원장으로 맡긴 사람은 이재명 의원님(당시 상임고문)이셨습니다"라고 비꼬았다.
민주당은 지방선거 운동 기간 중 지도부 내홍으로 곤욕을 치렀는데 이에 대한 책임으로 이 의원을 저격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자 친명계로 분류되고 있는 현근택 변호사는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처음부터 끝까지 이재명 후보만을 공격했다"며 "민주당에서도 같은 말을 하는 사람들이 나타나고 있다. 국힘 대표가 하는 말과 같은 말을 하는 것을 어떻게 봐야 할까요"라고 비꼬았다. 이 의원을 비난하는 이들을 이 대표와 동일시하며 이른바 '수박'(겉과 속이 다른 정치인 혹은 지지층을 가리키는 멸칭) 논쟁을 다시 한번 거론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현 변호사는 친명계에서 강조하고 있는 전당대회 관련 권리당원 투표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논리의 글을 추가로 게재하기도 했다.
당내 친명계인 김남국 의원도 적극적인 반박에 나섰다. 김 의원은 "국회의원, 당무위원 연석회의에서의 발언 역시 잘 짜인 드라마의 각본을 본 것 같았다"며 "우리들의 부족함을 되돌아보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네 탓 타령'만 가득했다"고 적었다. '이재명 죽이기' 기획설을 또다시 꺼내 든 것이다.
그는 "국민들은 민주당 정치인들이 패배를 먼저 반성하고, 쇄신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 한다"며 "단 하루도 못 참고, 기다렸다는 듯이 일제히 이재명 책임론을 쏟아내는 모습을 보면서 절망하고 계신다"고 말했다.
한편 이 같은 계파 간 싸움을 두고 박수현 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대선과 지선 패배를 놓고 '친문(친문재인) 대 친명(친이재명)' 삿대질이 웬 말인가? 너무 부끄러워 얼굴을 들 수조차 없다"고 자성의 목소리를 냈다.
박 전 수석은 "간곡히 호소한다. '아책여의(我責汝義), 내 탓이고, 너도 옳다'가 어법상 맞는지는 모르겠으나, 민주당에 말하고자 하는 뜻은 이렇다"며 "'모든 것이 네가 옳다고 말하진 못할지라도, 너 역시 옳다'고 말하는 자세를 가져보자"고 호소했다.
[사진] 뉴스1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